Study/DB3 가상 튜플, 팬텀 충돌, mvcc, cc 좋습니다. 이 질문은 트랜잭션 격리 수준과 팬텀 리드(Phantom Read, 팬텀 현상)의 정확한 개념을 이해하려 할 때 나오는 핵심 포인트입니다.여기서 말하는 "가상 튜플(Virtual Tuple)"은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지만, 향후 생성될 수 있어 잠재적 충돌 대상이 되는 튜플을 의미합니다.✅ 팬텀 리드(Phantom Read)란?트랜잭션 A가 조건에 맞는 행 집합을 조회하고,이후 트랜잭션 B가 해당 조건에 맞는 새로운 행을 INSERT트랜잭션 A가 다시 같은 조건으로 조회할 때 "팬텀 튜플"이 보임➡️ 이때 새롭게 나타난 행을 "팬텀(Phantom)",➡️ 이 가능성을 고려해야 하는 대상이 바로 "가상 튜플(Virtual Tuple)"입니다.🔍 "가상 튜플"의 의미아직 DB에 존재하지 않음하지만.. 2025. 4. 15. Optimizer 정확히 말하자면 Yes, but with nuance —오라클 옵티마이저(Oracle Optimizer)는 쿼리 결과를 바꾸지는 않지만, "어떻게 실행할지"를 최적화해서 더 빠른 실행 계획(Execution Plan)을 선택합니다. 즉, 작성한 SQL을 해석해서 내부적으로 최적의 경로로 실행하는 역할을 합니다.✅ 핵심 개념: Oracle Optimizer는 "실행 전략"을 선택함항목설명입력사용자가 작성한 SQL역할SQL을 그대로 두되, 어떤 방식으로 처리할지 결정출력Execution Plan (실행 계획)결과결과값은 동일하지만, 속도·자원 소비는 차이 남🔍 예: 동일 SQL, 다른 실행 계획SELECT * FROM EMP WHERE DEPTNO = 10;옵티마이저가 선택할 수 있는 계획:🔹 인덱스 스.. 2025. 4. 15. 스키마 📌 DB 3단계 스키마 구조 – 요약 정리표구분대상 범위형식 표현설명외부 스키마개별 사용자 / 응용 시스템외부 인터페이스 + 표현 형식사용자가 보는 뷰. 응용 프로그램이나 사용자가 직접 접근하는 부분. 보안·필터링 적용 가능.개념 스키마전체 조직 / DB 논리 구조개념적 구조 + 논리적 형식모든 응용과 사용자가 공유하는 DB 통합 구조. 전체 엔터티, 관계, 무결성 조건 포함.내부 스키마저장장치 / DBMS 내부물리 저장 구조 + 내부 형식실제로 하드디스크 등 물리 장치에 저장되는 데이터 형식 및 구조. 인덱스, 페이지 등 포함.🧭 계층 구조도 (3계층 구조 흐름) 사용자1 사용자2 앱 A 앱 B │ │ │ │ .. 2025. 4. 15.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