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udy/디지털서비스

마이페이먼트, MyPayment

by 구루마3단 2025. 5. 1.

마이페이먼트(MyPayment)의 개념을


✅ 마이페이먼트(MyPayment)의 정의

마이페이먼트(MyPayment)란,
사용자가 직접 자금을 송금하지 않아도,
상품 또는 서비스 거래로부터 생성된 거래정보를 기반으로
제3자인 지급지시업자(Payment Initiation Service Provider)
사용자의 금융 계좌에서 **결제를 지시할 수 있도록 허용된 지급지시 서비스이다.


✅ 정의의 구성 요소 설명

구성 요소 설명
거래정보 기반 실물 거래(상품/서비스)의 계약 정보 또는 주문 내역
지급지시 계좌이체와 같은 지급을 사용자 대신 제3자가 지시
지급지시업자 (PISP) 금융결제원, 토스, 네이버페이 등 등록된 핀테크 사업자가 수행
자금 예치 불필요 기존 간편결제(PG)와 달리, 사전 자금 예치 없이 실시간 지시만 수행
법적 기반 전자금융거래법 개정(2021년)으로 도입된 신규 서비스 유형

✅ 간단 정의 (요약형)

마이페이먼트는 거래정보만으로 제3자가 금융기관에 결제를 지시할 수 있는 지급 서비스로,
사용자는 직접 계좌이체를 수행하지 않아도 결제가 완료되는 핀테크 기반 지급지시 시스템이다.

좋습니다! 아래는 마이페이먼트(MyPayment)를 기존 PG(전자지급결제대행), 간편결제, 오픈뱅킹과 비교한 표입니다.


✅ 마이페이먼트 vs PG vs 간편결제 vs 오픈뱅킹 비교표

구분 마이페이먼트 (지급지시 서비스) PG사 (전자지급결제대행) 간편결제 (예: 삼성페이 등) 오픈뱅킹
법적 근거 전자금융거래법 (지급지시업) 전자금융거래법 (전자지급결제대행업) 전자지급수단 발행·관리업 또는 대행 전자금융거래법 (공동망 기반 서비스)
자금 흐름 사용자 계좌 → 가맹점 계좌 👉 제3자가 "지시"만 함 사용자 → PG 예치 → 가맹점 정산 👉 자금을 직접 다룸 카드사, 은행 연결 → 통합 결제 사용자 계좌 간 송금 (은행 앱 대체)
거래 기반 거래정보만으로 결제 지시 가능 결제 자체를 PG가 처리 카드 or 계좌 기반 즉시 결제 사용자가 직접 송금 주체
결제 주체 지급지시업자 (핀테크) PG사 또는 카드사 카드사/은행/간편결제사 사용자 직접
자금 보관 ❌ 없음 (예치 금지) ✅ 있음 (일시적 보관 및 정산) ❌ 없음 ❌ 없음
가맹점 입장 PG 없이도 계좌 기반 수납 가능 PG 필요 PG 연동 필요 수납보다는 송금 중심
서비스 예 토스, 네이버페이(일부), 카카오페이(전환 중) KG이니시스, NICE페이먼츠 삼성페이, 카카오페이(기존), 페이코 토스, 케이뱅크 등

✅ 핵심 차이 요약

  • 마이페이먼트: 거래정보만으로 사용자 대신 결제 지시, 자금 보관 ❌
  • PG사: 결제 대행 + 자금 정산까지 수행, 자금 일시 보관 ✅
  • 간편결제: 카드/계좌를 연결해 결제를 단순화, 대부분 PG 기반
  • 오픈뱅킹: 송금 중심 API, 직접 결제는 하지 않음 (계좌 간 이동 위주)

✅ 절차

  1. User → Merchant (1. 상품 주문)
    사용자가 온라인에서 상품 또는 서비스를 주문합니다.
  2. Merchant → PISP (2. 거래정보 전달)
    가맹점은 거래정보(상품명, 가격 등)를 지급지시 사업자(PISP)에게 전달합니다.
  3. PISP → Bank (3. 결제지시 수행)
    PISP는 사용자의 계좌에서 해당 금액을 은행에 지시합니다. 사용자는 직접 계좌이체를 하지 않습니다.
  4. Bank → Merchant (4. 계좌이체 실행)
    은행은 사용자의 계좌에서 가맹점 계좌로 자금을 이체합니다.
  5. PISP → User (5. 결제 결과 통보)
    결제가 완료되면, PISP는 사용자에게 성공 또는 실패 결과를 알려줍니다.

이 구조는 기존 PG 기반 결제 방식과 다르게 PG 없이 실시간 계좌 기반 지급지시가 가능한 점이 핵심

PG(Payment Gateway) 기반 결제 구조


✅ PG(Payment Gateway)란?

PG사온라인 쇼핑몰과 카드사·은행 사이에서 결제를 중계하고 정산·보안·인증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결제 대행 사업자입니다.

대표 업체: KG이니시스, NICE페이, KCP, 토스페이먼츠 등


✅ PG 기반 결제 구조 (흐름도)

[User]
   ↓ 결제 요청
[Shopping Mall]
   ↓ API 연동
[PG사 (중계)]
   ↓ 인증/승인 처리
[Card사/은행]
   ↓ 결제 승인
[PG사]
   ↓ 정산 후 입금
[Shopping Mall]

✅ 단계별 설명

단계 설명
① 사용자 결제 사용자가 쇼핑몰에서 결제 진행 (카드/계좌/간편결제 등)
② 쇼핑몰 → PG 쇼핑몰은 PG사 결제 모듈 또는 API 연동
③ PG사 → 카드사·은행 PG사는 인증·승인 요청 수행 (안심클릭, ISP 등 포함)
④ 결제 승인 카드사나 은행이 결제 승인
⑤ 대금 수취 및 보관 PG사가 결제 대금을 일시적으로 예치
⑥ 정산 및 입금 PG사가 일정 정산 주기 후 쇼핑몰로 대금 입금

✅ PG사가 제공하는 주요 기능

기능 설명
결제 수단 통합 카드, 계좌이체, 휴대폰결제, 간편결제 등 통합 제공
보안 인증 처리 ISP, 안심클릭, 3D Secure 등 전자서명 인증
거래 승인 관리 카드 승인 실패·성공 관리, 재승인 처리
정산/환불/취소 관리 쇼핑몰 대신 회계·정산·취소 업무 대행
영수증 발행/세금계산서 연동 결제와 연계된 세무처리 기능 포함

✅ 결론 요약

🔹 PG 기반 결제 구조는 '쇼핑몰 → PG → 카드사/은행' 중계 구조로,
🔹 PG사가 결제 승인, 정산, 보안, 세무 등 모든 것을 대신 처리합니다.
🔹 가맹점은 결제 시스템을 직접 구현할 필요 없이 PG와 연동만 하면 됨 → 매우 편리하지만 수수료 발생


✅ 1. PISP

PISP = Payment Initiation Service Provider
🔍 지급지시 서비스 제공자, 즉 사용자 계좌에서 제3자가 결제를 지시할 수 있도록 허가받은 핀테크 사업자

항목 설명
한글 의미 지급지시업자
주요 역할 사용자를 대신해 결제 요청만 수행 (실제 자금은 은행이 이체)
법적 근거 전자금융거래법 개정 (2021년), 유럽 PSD2 기준 도입
예시 기업 토스, 네이버파이낸셜, 카카오페이 (일부 기능)

✅ 2. PG

PG = Payment Gateway
🔍 전자지급결제대행사, 즉 온라인 결제를 중계·대행해주는 플랫폼 사업자

항목 설명
한글 의미 전자지급결제대행사
주요 역할 쇼핑몰과 카드사/은행 사이에서 인증·승인·정산까지 모든 결제 처리 대행
법적 분류 전자지급결제대행업자 (전자금융거래법)
예시 기업 KG이니시스, NICE페이, KCP, 토스페이먼츠 등

✅ 핵심 비교 요약

구분 PISP PG
약자 Payment Initiation Service Provider Payment Gateway
중심 기능 결제 지시 (지시만 함) 결제 전체 처리 (인증~정산)
자금 보관 ❌ 없음 (보관 금지) ✅ 있음 (일시 보관 후 정산)
도입 배경 오픈뱅킹, 유럽 PSD2 온라인 쇼핑 확산 초기부터
대표 구조 MyPayment 일반 카드결제/계좌이체 시스템

Initiation은 영어로 "시작", "개시", "발동", "착수"라는 뜻입니다.


✅ 기본 의미

항목 설명
단어 initiation (명사)
어원 라틴어 initium = 시작, 입문
대표 뜻
1. 어떤 행위나 절차의 시작
2. (조직, 행사, 절차 등에) 처음 참여하거나 작동시키는 것
3. (기계·시스템을) 작동시키는 발동 행위

📌 예문

문장 해석
"The initiation of payment takes place after order confirmation." 결제는 주문 확인 후 개시된다.
"She led the initiation ceremony." 그녀는 입문식을 이끌었다.
"Payment initiation is handled by PISP." 결제 개시는 지급지시업자(PISP)가 수행한다.

✅ 지급지시(Payment Initiation)에서의 의미

💳 "Initiation" = 결제 행위를 시작시키는 지시만 수행
즉, 사용자가 직접 돈을 보내는 것이 아니라
“내 계좌에서 이 금액을 이 사람에게 보내라”고 지시하는 시작 명령이 바로 Initiation입니다.


✅ 요약

🔹 Initiation은 "시작", "개시", "발동"이라는 뜻이며,
🔹 PISP에서의 Payment Initiation
👉 “결제를 직접 수행하는 게 아니라, 결제를 시작(지시)하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Study > 디지털서비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URI URL URN  (0) 2025.05.01
REST API  (0) 2025.05.01
쿠버네티스 kubernates  (1) 2025.05.01
전가상화 반가상화 virtualization  (0) 2025.05.01
오픈데이터 Open Data  (0) 2025.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