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tudy/네트워크

Self Provisioning

by 구루마3단 2025. 3. 30.

 

✅ Self-Provisioning이란?

📌 Self-Provisioning =“사용자 스스로 자신의 리소스를 셋업하거나 등록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화된 시스템”

➡ 말 그대로, 관리자가 일일이 개입하지 않아도,사용자나 장비가 '자기 자신을 셋업(provision)'하는 것이야.


💡 Provisioning이 뭐더라?

Provisioning = 리소스를 사전 준비하고 할당하는 일

(예: 계정 만들기, IP 부여, 정책 적용 등)


✅ Self-Provisioning 예시 (분야별)

분야 Self-Provisioning 예
네트워크 IoT 장비나 노트북이 처음 연결될 때 → 자동으로 인증 받고 VLAN 할당, 정책 적용
클라우드 (AWS, Azure) 사용자가 웹 콘솔에서 스스로 VM, DB, 네트워크 생성
보안/NAC 새로운 단말 접속 시, 사용자가 웹 포탈에서 장비 등록 + 인증 수행
ID 관리 (IAM) 사용자가 직접 패스워드 리셋, 2차 인증 등록, 이메일 수정 등
Wi-Fi 게스트 등록 방문객이 웹페이지 통해 본인 인증 후 Wi-Fi 계정 발급 받기

✅ 장점

항목 내용
✅ 운영 자동화 관리자의 수작업 없이도 리소스 등록/설정 가능
✅ 사용자 경험 개선 즉시 셋업, 대기 시간 없이 사용 가능
✅ 보안 정책과 통합 가능 장비 등록 시 NAC/AD 연동, 인증 기반 권한 부여 가능
✅ 대규모 환경에서 필수 수천 대 단말이 접속하는 환경에서 효율적

❗ 단점/주의사항

항목 설명
보안 위험 인증 절차가 약하면 비인가 단말이 자가 등록 가능
정책 일관성 유지 잘못된 셀프 등록 → 엉뚱한 정책 적용 가능성
로그 추적 필요 누가 어떤 리소스를 등록했는지 기록 필수

🧠 대표 기술 연계

Self-Provisioning + 예시
SDN 단말 인증 → 자동 VLAN/ACL 설정
NAC (802.1X + 웹 포탈) 사용자 장비 자가 등록 → 승인 후 통신 허용
Cloud API Terraform, AWS CloudFormation으로 자가 자원 셋업
MDM BYOD 환경에서 사용자 디바이스 자동 등록

✅ 한 줄 요약

Self-Provisioning은 “스스로 접속하고, 인증하고, 구성하는 네트워크의 자동화 관문”이다.

관리자가 손대지 않아도, 사용자/장비가 자동으로 환경을 셋업할 수 있게 해준다.

 

'Study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stance, Tenant, Docker, VM  (1) 2025.03.30
SDN, Software Defined Network  (0) 2025.03.30
CSMA/C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Collision Avoidance  (0) 2025.03.30
QoS, Traffice Policing/Shaping  (0) 2025.03.30
WIFI  (0) 2025.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