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S, RTS, CTS, SIFS였어
이건 무선 LAN(MAC 레벨) 프로토콜 중에서 아주 중요한 흐름이지.
바로 CSMA/CA + 무선 충돌 회피 절차의 핵심 용어들이야.
✅ 용어 정리: DIFS / RTS / CTS / SIFS
용어 | 의미 | 설명 |
---|---|---|
DIFS (Distributed Interframe Space) | 분산 간격 | 일반 데이터 프레임 전송 시 대기 시간 (랜덤 백오프 후 진입) |
RTS (Request To Send) | 전송 요청 | 보낼 프레임이 있는 송신자가 예약 요청 |
CTS (Clear To Send) | 전송 허가 | 수신자가 RTS에 응답, 전송 허가 |
SIFS (Short Interframe Space) | 짧은 간격 | ACK, CTS, 프레임 연속 전송 시 사용되는 가장 짧은 대기 시간 |
🔄 전체 흐름 도식
[송신자] [수신자]
│ │
│---- DIFS 대기 --------> (채널 감지)
│---- RTS ------------> (전송 요청)
│ │
│<--- CTS ------------- (허가 응답)
│---- SIFS 대기 -------> (짧은 대기)
│---- DATA ------------> (데이터 전송)
│ │
│<--- ACK ------------- (수신 확인)
➡ 즉, RTS/CTS는 충돌 회피용 예약 프로토콜,
SIFS/DIFS는 프레임 간 간격 조절 역할
📌 왜 필요하냐?
문제 | 해결 |
---|---|
무선은 충돌 감지가 어렵다 (CSMA/CD 불가) | → CSMA/CA + RTS/CTS 도입 |
숨은 노드(Hidden Node) 문제 | → 수신자가 CTS로 명확히 전송 허가 |
타이밍 제어 필요 | → SIFS/DIFS로 프레임 충돌 방지 |
✅ 간단 암기 팁
구분 | 기능 | 키워드 |
---|---|---|
DIFS | 데이터 전송 대기 | Data Inter-frame |
SIFS | ACK/CTS/응답용 짧은 대기 | Short |
RTS/CTS | 예약 시스템 | 무선 충돌 방지 |
🔥 한 줄 요약
무선 LAN은 충돌 감지가 안 되기 때문에
"대기(DIFS) → 예약(RTS/CTS) → 짧은 반응(SIFS)"
흐름으로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낸다.
좋아 😎
Backoff Time, 이건 무선이든 유선이든 CSMA 기반 네트워크의 핵심 메커니즘 중 하나야.
특히 무선 LAN(MAC 프로토콜)에서는 충돌 회피(CSMA/CA)의 “뇌” 같은 역할이야.
✅ Backoff Time이란?
📌 Backoff Time = 데이터 전송을 시도하기 전에 무작위로 기다리는 시간
→ 채널이 바빠서 충돌이 날 가능성이 있을 때, 모두가 동시에 보내지 않도록
→ 각 송신자가 무작위(Random) 대기 시간을 적용해서 보내는 순서를 분산시킴
🔄 작동 순서 (CSMA/CA 기준)
- 송신자는 채널이 비는지 감지(DIFS만큼 기다림)
- 비었으면?
- 바로 보내는 게 아님!
- Backoff Timer를 랜덤하게 설정 (0~CW 범위)
- 타이머를 1칸씩 줄여가며 채널을 감지
- 타이머가 0이 되면 → 그때 전송 시작
➡ 이 타이머가 바로 Backoff Time이야
📌 왜 랜덤이냐?
모두가 동시에 "오 채널 비었네?" 하고 바로 보내면 또 충돌 나잖아?
그래서 전송 시도를 랜덤으로 분산시켜서
충돌 가능성을 낮추는 거야.
🎲 Backoff Time 수식
Backoff Time = Random(0 ~ CW) × SlotTime
항목 | 설명 |
---|---|
CW (Contention Window) | 충돌이 많을수록 범위가 커짐 (예: 15, 31, 63...) |
SlotTime | 시스템에서 정한 기본 시간 단위 (예: 9μs, 20μs 등) |
📦 예시 상황
- 두 개의 노트북이 동시에 전송하려고 한다
- 둘 다 채널 감지 후 → DIFS 후 → 랜덤 백오프 적용
- 한쪽은 3슬롯, 다른 한쪽은 7슬롯 → 먼저 끝난 노트북이 전송 성공
- 실패한 쪽은 CW를 늘리고 다시 랜덤 백오프
➡ 이걸 지속적으로 반복하면서 충돌을 줄이는 알고리즘
✅ 요약 비교
항목 | 설명 |
---|---|
언제 발생? | 채널이 유휴 상태로 전환될 때 |
목적 | 전송 타이밍 분산으로 충돌 방지 |
방식 | 무작위 대기 시간 (Backoff Timer) |
어디서? | Wi-Fi, Ethernet (CSMA/CD), ZigBee 등 MAC 계층에서 사용 |
🔥 한 줄 정리
Backoff Time은 "나 먼저!"를 방지하는 기다림의 룰
모두가 동시에 보내지 않도록, 네트워크 질서를 유지하는 랜덤 대기 제어 장치다.
필요하면 이걸 흐름도 + 수식 + 예제 포함해서 HTML 카드 만들어줄게.
할까? 😎
'Study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SDN, Software Defined Network (0) | 2025.03.30 |
---|---|
Self Provisioning (0) | 2025.03.30 |
QoS, Traffice Policing/Shaping (0) | 2025.03.30 |
WIFI (0) | 2025.03.30 |
스위치 전송 방식 (0) | 2025.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