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ield/System

리눅스 텔넷 서버 구축

by 구루마3단 2014. 7. 25.

텔넷 서버 설치 과정


1. 텔넷 서버 패키지 설치 #yum install telnet-server  

2. 설정 파일 변경  /etc/xinetd.d/telnet

3. xinetd 데몬 재시작 #service xinetd restart

4. 텔넷 전용 사용자 생성   #adduser 사용자명

                                    #passwd 사용자명

5. 포트 열기  #system-config-firewall

                  #system-config-firewall

                  #iptables

6. 클라이언트(윈도우)에서 접속 확인  C:\>telnet ip(서버)

기타1. root 계정 허용



1-1. 텔넷 서버 패키시 설치 유무 확인 & 패키지 설치




2. /etc/xinetd.d/telnet 설정 수정

disable = yes > disable = no 변경




3. xinetd 데몬 재시작 & 4. id 생성 (기본적으로 root 계정 접속은 막혀있음.)


실패?

재시작 명령으로 실행중인 xinetd 데몬정지 진행 하지만 데몬이 실행중이 아니라 실패 후

시작은 정상 시작.



5. 포트열기

방화벽에서 port를 허용하자.

리눅스 방화벽 설정은 3가지 정도. GUI / TUI(CUI, CLI) / iptables

여기선 간단하게 iptables 사용하겠음!


system-config-firewall


system-config-firewall-tui



iptables

iptables -L(= service iptables status) 명령으로 현제 방화벽 적용 상태 확인


iptables -I INPUT -p tcp --dport telnet -j ACCEPT

삽입(-I)한다 들어오는 트래픽룰(INPUT)에 프로토콜은(-p) tcp 목적지포트(--dport) telnet

방식은(-j) ACCPET 행위로


iptables -L 적용이 잘됐는지 확인

service iptables save 완료 후 저장






기타1. root 계정 허용( default는 root 비허용)

/etc/securetty 파일을 잠시 이름을 바꿔 root 계정을 허용. 


정상적으로 root의 id/password 를 입력했으나 맞지 않다고 나옴.



해당 파일을 잠시 다른파일로 바꿔, 없는 상태로 만들자.



root 로 재접속


성공~!




위 방법대로 /etc/securetty 파일을 옮겨도 되나 이렇게 사용말고 수정하여 사용하자.

해당 파일은 접속되는 tty 의 root 접속 설정을 위한것으로 가상으로 붙은 터미널 pts를 추가해주자.

vi /etc/securetty

아래부분에 pts/0 ~ pts/N 대략적인 허용라인 정도 추가하여 사용.

pts/0은 장비에서 사용하기에 넣을 필요는 없겠네요.



telnet root 접속된현재 접속정보 확인



참고

TTY(TeleTYpewriter)

PTY(Pseudo TTY)

PTS(Pseudo TTY Slave)



'Field > System' 카테고리의 다른 글

oslevel  (0) 2015.03.10
AIX  (1) 2015.03.10
리눅스 LVM  (0) 2014.08.04
S01. CIFS  (0) 2013.12.19
VTY, NTP  (0) 2013.05.09